국산밀의 품질과 종류
1. 품질 우리나라 밀 재배 지역은 옥구, 김제, 전주, 순천, 구례, 해남, 밀양, 강진 등으로 밀 수확 후 즉시 벼농사가 가능한 남부지역의 답리작 지대와 소수의 전작지대로 혼재되어 있다. 대규모로 재배하는 농가가 거의 없으며 생육환경의 차이가 심해 생산된 밀의 품질도 많은 차이가 있다. 국산밀은 국내 제분업체가 이용하는 미국, 호주, 캐나다산 등의 밀에 비해 품질이 떨어진다. 이는 수입밀의 경우 수십 년간 종자개량을 통해 발전한 반면 우리나라 국내밀 산업은 거의 고사 위기에 처한 수준으로 육종이나 품종 개량 등의 노력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수입밀의 경우 단백질, 초자질, 반죽 특성 및 흡수율 등 미세한 차이까지도 세분화하여 1, 2차 가공을 하는 반면 국산밀은 아직 용도별 유형 구분되어 있지 않..
밀의 수요와 공급 그리고 식량안보로서의 밀
1) 세계의 밀 수급 2022년 전 세계적으로 밀은 774,400,000톤 생산되었고 이는 전년 대비 4.4% 줄어든 것이다. 그 이유로는 코로나로 인한 대외무역 불안정성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기후 변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전망된다. 총소비량은 2006/2007년도 616,100,000톤이었으나 2009/2010년도는 650,500,000톤으로 증가했으며 2017/18년에는 744,790,000톤까지 세계 밀소비량이 증가하였다. 2008/2009년도의 식용 소비량은 451,400,000톤 정도로 총 소비량의 약 70%에 상당한 것이다. 식용으로 소비되는 밀은 거의 제분되어 밀가루로 소비되고 있다. 식용 외에도 사료용이나 공업용이 있는데 이 비율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2006~2007..